기사상세페이지

지진해일 대비책

기사입력 2012.03.16 09:03

SNS 공유하기

fa tw gp
  • ba
  • ka ks url

    지난 3월 11일은 일본이 지진해일로 인한 피해를 입은지 1년이 되는 날이다. 1년이 지난 지금도 많은 피해가 복구되지 않았으며 많은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.

    최근 우리나라는 지진해일로 큰 피해를 입지 않았지만 1983년과 1993년에 일본 근해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강원도 삼척지역이 지진해일로 피해를 입은기록이 있으므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.

    지진해일은 언제 발생할지 예측이 힘들고 또한 발생시 빠르게 피해가 발생하므로 평소에 지진해일에 대한 대비를 세워두는것이 중요하다.

    ● 해안가에서는...

    - 일본 서해안에서 규모 7.0 이상의 지진 발생이 보고되면 지진해일 발생을 우려해야 한다.

    - 연안 주민들은 항시 지진해일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하고, 현상을 잘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. 또, 이러한 정보를 이웃이나 친지에게 알려 위험에 대비하도록 한다.

    또, 지진해일 내습이 확인되면 모든 통신수단을 동원하여 주민 모두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  - 일본서해안에서 지진 발생 후 동해안에는 약 2시간 뒤에 해일이 도달하므로, 해안가에서는 작업을 정리하고 위험물(부유 가능한 물건, 충돌시 충격이 큰 물건, 유류 등)을 이동시키며, 고지대로 피난해야 한다.

    - 항내 선박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거나 가능한 항 외로 이동시키고, 기상특보를 경청하며 지시에 따라야 한다.

    - 해안가에 있을 때 강한 지진동을 느꼈을 경우는 국지적인 해일의 발생 가능성이 있고, 약 2~3분 이내에 해일이 내습할 수 있으므로 해일 경보 등이 없더라도 신속히 고지대로 이동하여 대피하도록 한다.

    ● 선박위에 있다면...

    - 대양에서는 해일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, 해안 부근에서 크게 증폭되므로 자신이 만일 대양에 있고 지진해일 경보가 발령되었거나 이를 인지하였을 때에는 항구로 복귀하지 않도록 한다.

    - 항만, 포구 등에 정박해 있거나, 해안가에서 조업 중인 선박은 지진해일 발생여부를 인지한 후,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질서를 유지해가며 선박을 수심이 깊은 지역으로 이동시킵니다.

    - 지진해일이 내습하면 항만 등에서 그 파고는 거대해지고 유속이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선박의 안전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.

    - 선박에 대한 조치가 끝난 후에 자신이 육지에 있다면 동료들과 함께 신속히 고지대로 대피해야 한다.

    방파제 내측 등은 지진해일이 월류할 위험이 있으므로 선박의 정박은 피해야 한다.

    ● 자주적 방재활동을 위한 지진해일에 관한 상식

    - 일반적으로 일본 서해안의 지진대에서 규모 7.0 이상의 지진이 보고되면, 약 2시간 후 동해안에 지진해일이 도달하게 된다.

    - 도달하는 영역은 동해안 전역이고, 동해안에 내습하는 지진해일의 파고는 최대 3~4m 정도입니다. 이로 인해 해안가 저지대는 침수되기 쉽다.

    - 일반적으로 지진해일의 초동은 물이 빠지는 것으로 시작되어 항 바닥이 들어 나기도 합니다.

    - 지진해일은 여러 차례 열을 지어 도달하는데 제 1파보다 2, 3파의 크기가 더 클 수도 있고, 지진해일에 의한 해면의 진동은 길게 10시간 이상 지속되기도 한다.

    - 지진해일의 내습 속도는 사람의 거동보다 빠르고, 그 힘이 우세하여 약 30cm의 정도의 해일 상황에서 성인이 걸을 수 없고, 약 1m 정도의 해일이라면 목조건물이 파괴될 수 있으며, 이로 인해 인명 피해를 일으킬 우려가 높다.

    - 해안가의 선박이나 다른 물건들이 지진해일에 의해 육지로 운반되어 가옥에 충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이러한 물체들이 유류 탱크 등에 충돌하여 화재를 일으키기도 합니다.

    - 지진해일은 예고 없이 내습한다.

    - 지진해일은 바다로 통해 있는 하천을 따라 역상하기도 한다.

    지진해일에 대처하는 3단계 STEP

    ① 사전대비

    - 바닷가에서의 대피 방법을 사전에 인지해야 한다.

    - 바닷가에 있을 때, 우선 주변에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고 유사시 어느 곳을 통하여 대피

    할 것인가를 사전에 알아 둔다.

    ▶ 가까운 곳에 안전한 대피 장소는 어디인가?

    ▶ 방파제의 계단과 대피 경로는?

    ▶ 가까운 곳에 해일경보 스피커가 있는가?

    ② 대피

    - 해안에서 지진을 감지하거나 지진해일 경보가 발령되었을 때 높은 곳으로 대

    피한다.

    - 지진해일 발생 때에는 ‘더 멀리’가 아니라 ‘더 높은 지대’로 대피한다.

    - 지정된 대피소로 몸을 피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지만 늦었을 때 건물의 3층 이상으로 대피한다.

    ▶ 지진이나 지진해일 경보가 발령되면 높은 곳으로 대피

    ▶ 대피할 때는 차량보다는 걸어서 이동한다.

    ③ 정보 수집

    - 안전한 장소에 있더라도 정확한 정보를 청취?수집 한다.

    ▶ 안정한 정소에 있더라도 라디오, 텔레비전 등을 통해서 정보 확인한다.

    ▶ 지진해일은 몇 번이고 반복해서 일어나는 것으로 한 번에 끝난다고 볼 수 없으므로

    대피 후 안전하다는 정보가 있을 때까지 바닷가 근처는 가지 않도록 주의한다.

    <구례119안전센터 정종일>

    backward top home